올해 102만명 노인일자리 참여…100세 이상 26명
정부의 노인일자리에 참여한 사람의 나이는 평균 75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령 참여자는 107세였다.
1일 국회 서미화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정부의 노인일자리 사업에는 모두 101만 8876명이 참여했다.
이 가운데 △70대가 49.8% 가장 많았고 이어 △80대 25.9% △60대 23.7% △90대 0.7%였다. △100대인 고령의 노인 36명도 노인일자리에 참여했다.
정부의 올해 노인일자리는 103만개다. 총 예산이 2조 264억원이 투입된다.
이 가운데 공공형(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는 65만 4000개(63.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따르면 공공형 노인일자리는 상대적으로 여성, 높은 연령, 낮은 학력 등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의 참여율이 높았다.
그런데 공공형 노인일자리는 지난해 노인일자리 사업 안전사고 3086건 중 86.6%을 차지해 상대적으로 안전사고 발생율이 높았다. 또 중도포기율이 12.6%로, 다른 사업보다 높았다.
노인일자리 중 공공형 노인일자리는 노노케어, 취약계층 지원, 공공시설 봉사 등을 하게 되고 사회서비스 형은 노인의 경력과 활동역량을 활용해 지역사회 돌봄, 안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민간형은 실버카페, 반찬가게 등 제조·판매 하거나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해 지원해 계속고용을 유도하는 사업 등 노인일자리에는 다양한 사업이 있다.
최근 국회 예산정책처는 지자체나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에서 공공형 노인일자리 참여자를 선발할 때, 신청자의 적격성을 판정하는 선발기준표가 단순하다고 지적했다.
국회 예정처는 공공형 노인일자리 참여자 선발기준표가 “실질적으로 노인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실효성 있는 평가지표로 보완하라고 권고했다.
서미화 의원은 “노인들의 소득이 부족한 상황에서 노인일자리 사업은 어르신들의 노후 소득을 보장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안전망 정책”이라며 “사업 참여자들의 신체활동 능력을 평가할 실질적 지표를 만들고, 고령의 어르신들도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