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노출된 여성 노인들 나흘 이내 사망 위험도 특히 커져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초미세먼지(PM2.5)를 오래 마시면 당일 사망 위험도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매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단기간(0∼4일) 사망 연관성은 남성보다 여성이 상대적으로 밀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4일 발간한 이슈&포커스 ‘미세먼지의 건강 영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에서 연령별·성별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단기(당일 이후 4일 이내) 사망 위험도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를 위해 2016∼2020년 서울지역 사망자 22만1042명의 사망 원인을 추적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세먼지(PM10) 노출에 따른 사망자 상대위험도(RR·Relative Risk) 평가 결과 당일 노출 영향은 이후 1∼3일보다는 크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하지만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연령대별 영향은 달랐다. 65세 이상 그룹에서는 초미세먼지 당일 노출과 사망 간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 35∼64세 연령대에서도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위험이 다른 연령대보다 대체로 높았다. 아울러 초미세먼지 노출로 인한 위험 수준은 미세먼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도 있었다. 여성의 경우 날짜별 초미세먼지 노출 경과에 따른 농도가 증가할수록 사망의 상대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특히 당일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위험도는 다른 시기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연구진은 2017년 정부의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발표 이후 미세먼지 노출에 대응하는 법적 기반은 갖춰졌지만 주기적 종합계획이나 기후보건영향평가 이외 미세먼지 농도관리 규정은 강제성이 없어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예컨대, 미세먼지 대응 정책 대상은 크게 영유아, 노인, 기저질환자 등으로 구분하고 있지만 기저질환자 중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을 앓는 중증 환자와 노숙인, 외국인, 장애인 등과 같은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연구진은 국내 미세먼지 노출에 대한 행동 수칙을 담은 가이드라인 등은 다양하게 개발돼 있으나 직접적인 정보·정책 대상자들에게 이를 전달하는 모습은 없었다고 진단했다. 영유아·노년층이나 노숙인·장애인과 같은 취약계층의 경우 인터넷 활용이 쉽지 않은 까닭에 작금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위주의 홍보 활동은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연구진은 향후 미세먼지 대응 정책은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지역사회에 대한 미세먼지 교육 제공 및 정보 제공 체계 구축 등의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미세먼지 특보 등 대기질이 악화할 경우 취약계층을 위한 보호소 및 마스크 제공과 같은 실질적 정책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