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빈곤율 OECD 국가중 가장 높다.
우리나라 66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가운데 유일하게 4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 소득 50% 이하에 속하는 인구 비율을 말한다. 고령자 10명 중 6명 이상은 생활비를 직접 마련하고 있다.
통계청이 26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2023년 여름호’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6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집계됐다. OECD 국가 중 상대적 빈곤율이 40%를 넘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했다. 에스토니아(34.5%)와 라트비아(33.8%)는 물론 헝가리(13.2%), 체코(8.2%), 그리스(7.2%) 등도 한국보다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이 낮았다.
빈곤율이 높다 보니 은퇴 연령층인데도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노인이 많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중 본인 또는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은 65.0%로 10년 전보다 13.4%포인트(p) 커졌다. 정부·사회단체 지원도 17.2%로 같은 기간 8.1%p 늘었다. 반면 자녀·친척 지원은 17.8%로 21.4%p 낮아졌다.
고령자를 전기(65~74세)와 후기(75세 이상)로 나눠서 보면,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은 전기 고령자(78.7%)가 후기 고령자(46.0%)를 훨씬 앞섰다. 후기 고령자는 가족·자녀 지원(29.4%)이나 정부·사회단체 지원(24.6%)으로 생활하는 이가 전기 고령자보다 많았다.
65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2021년 기준 노후를 준비하고 있거나 이미 준비한 비중은 56.7%로 조사됐다. 전기 고령자의 66.8%, 후기 고령자의 42.7%가 노후 준비를 한다고 답했다. 주된 노후 준비 방법은 전기 고령자(62.6%)와 후기 고령자(52.9%) 모두 공적연금이었다. 노후를 준비하지 않는다고 말한 고령자는 43.3%였다. 이들 중 59.1%는 “노후를 준비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대답했다.
통계청은 “앞으로 10여년이 지나면 75세 이상 후기 고령자 비중이 전체 고령자의 과반이 될 것”이라며 “생활비 마련과 노후 준비 방법을 전·후기 고령자 모두 연금으로 선택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노후를 준비하고 있지 않은 고령자의 절반 이상은 준비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 등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했다.